【韩语翻译】韩语达人进 不要翻译工具翻的 谢谢了

韩国。位于朝鲜半岛南端的国家。西南靠黄海,东南有朝鲜海峡及对马海峡,
东面靠近日本海;
韩国靠近中国,虽然只有60年的历史,但文字和语法与中国相差甚多。
韩语与汉语语法主要不同点
1.汉语的词没有词尾的变化,主要靠词序表示句子里词的关系,即每个词在句中的地位和语法功能。而韩国语根据词尾变化,表示每个词在句中的地位和语法功能。举例:汉语“我去”,“人多”,这些句中的主语是“我”,“人”。但是韩国语表示主语时,必须加表示主语的格词尾“가(이)”。即“내가 간다”,“사람이 많다”。同样,表示谓语、宾语、定语、状语时都有一定的词尾变化。这个与中文大不相同。
2.汉语有时是通过一些介词来表示各个词之间的语法关系的,这时介词是加在词的前边的,而词尾都必须加在词的后边。以汉语的介词用法为例:
3.汉语的词序一般是宾语在谓语的后边,而韩国语则是宾语在前,谓语在句子的最后。即:
主语——宾语——谓语,如:

4.韩国语在口语中根据说话者和听话者之间的辈分、上下级、年龄、性别关系,表现出严格的礼节关系。不掌握阶称关系就会造成失礼,产生不良影响。我们必须注意这一点。如:表示尊敬对方时说:“오늘 가십니까?”表示与对方对等关系是说:“오늘가오?”而当听话者是少年儿童时则用:“오늘 가니?”等。

5.韩国语主要用词尾变化来表现说话者对听话者所表明的意图、方式。如“읽다”(读)的四种方式如下:
陈述式:책을 읽습니다. 读书
疑问式:책을 읽습니까? 读书吗?
命令式:책을 읽으십시오. 请读书吧。
共动式:채을 읽읍시다. 咱们一起读书吧。
每一种式的词尾,叫做“形”。以上四种方式的词尾分别叫做“陈述形”、“疑问形”、“命令形”、“共动形”。
(1)名词
对于汉语的名词子类划分,语法学界已有不少研究。但至今缺乏一个统一的划类标准,各家划出的子类也不尽相同。
朱德熙明确提出“划分词类的本质依据只能是词的语法功能而不是词的意义或形态变化”。他按照名词与量词的选择关系把名词分为5类:
a. 可数名词:有自己适用的个体量词
b. 不可数名词:没有自己适用的个体量词,只能选择度量词、临时量词
c. 集合名词:只能适用集合量词和不定量词
d. 抽象名词:只能适用种类量词和动量词
e. 专有名词:一般不受数量词修饰
又根据名词与9类量词的搭配关系,我们发现名词的各个子类不是处在同一个层次上的,而且还存在不少无量名词与过程名词。
一、完全名词和不完全名词
名词按照其语法功能分为完全名词和不完全名词。
完全名词有一定的独立见习生性,在句子中能单独形成为句子成分,一般名词都属于这一类。如:

其中的“선생님”,“ 학생”,“ 한국어”,“ 노동자”,“ 나라”,“ 주인”,都是完全名词。
不完全名词在句子中不能单独形成句子成分。它前面必须附加修饰,才能作句子成分,大多数不完全名词的意义十分抽象,它必须和某些规定词尾结合,有的还要加谓语才能表示某种意义。如:
-------------------
帮忙翻译成韩语 谢谢

韩国。位于朝鲜半岛南端的国家。西南靠黄海,东南有朝鲜海峡及对马海峡,
东面靠近日本海;
韩国靠近中国,虽然只有60年的历史,但文字和语法与中国相差甚多。
韩语与汉语语法主要不同点
1.汉语的词没有词尾的变化,主要靠词序表示句子里词的关系,即每个词在句中的地位和语法功能。而韩国语根据词尾变化,表示每个词在句中的地位和语法功能。举例:汉语“我去”,“人多”,这些句中的主语是“我”,“人”。但是韩国语表示主语时,必须加表示主语的格词尾“가(이)”。即“내가 간다”,“사람이 많다”。同样,表示谓语、宾语、定语、状语时都有一定的词尾变化。这个与中文大不相同。
2.汉语有时是通过一些介词来表示各个词之间的语法关系的,这时介词是加在词的前边的,而词尾都必须加在词的后边。以汉语的介词用法为例:
3.汉语的词序一般是宾语在谓语的后边,而韩国语则是宾语在前,谓语在句子的最后。即:
主语——宾语——谓语,如:

4.韩国语在口语中根据说话者和听话者之间的辈分、上下级、年龄、性别关系,表现出严格的礼节关系。不掌握阶称关系就会造成失礼,产生不良影响。我们必须注意这一点。如:表示尊敬对方时说:“오늘 가십니까?”表示与对方对等关系是说:“오늘가오?”而当听话者是少年儿童时则用:“오늘 가니?”等。

5.韩国语主要用词尾变化来表现说话者对听话者所表明的意图、方式。如“읽다”(读)的四种方式如下:
陈述式:책을 읽습니다. 读书
疑问式:책을 읽습니까? 读书吗?
命令式:책을 읽으십시오. 请读书吧。
共动式:채을 읽읍시다. 咱们一起读书吧。
每一种式的词尾,叫做“形”。以上四种方式的词尾分别叫做“陈述形”、“疑问形”、“命令形”、“共动形”。
(1)名词
对于汉语的名词子类划分,语法学界已有不少研究。但至今缺乏一个统一的划类标准,各家划出的子类也不尽相同。
朱德熙明确提出“划分词类的本质依据只能是词的语法功能而不是词的意义或形态变化”。他按照名词与量词的选择关系把名词分为5类:
a. 可数名词:有自己适用的个体量词
b. 不可数名词:没有自己适用的个体量词,只能选择度量词、临时量词
c. 集合名词:只能适用集合量词和不定量词
d. 抽象名词:只能适用种类量词和动量词
e. 专有名词:一般不受数量词修饰
又根据名词与9类量词的搭配关系,我们发现名词的各个子类不是处在同一个层次上的,而且还存在不少无量名词与过程名词。
一、完全名词和不完全名词
名词按照其语法功能分为完全名词和不完全名词。
完全名词有一定的独立见习生性,在句子中能单独形成为句子成分,一般名词都属于这一类。如:

其中的“선생님”,“ 학생”,“ 한국어”,“ 노동자”,“ 나라”,“ 주인”,都是完全名词。
不完全名词在句子中不能单独形成句子成分。它前面必须附加修饰,才能作句子成分,大多数不完全名词的意义十分抽象,它必须和某些规定词尾结合,有的还要加谓语才能表示某种意义。如:
한국은 조선반도 남단의 국가이다. 서남쪽은 황해, 동남쪽은 조선해협 및 대마해협에 닿아 있고, 동쪽은 일본해와 가깝다. :
한국은 중국과 근접해 있고, 비록 단지 60년의 역사만 가지고 있지만 문자와 어법은 중국과 서로 차이가 많다.
한국어와 중국어 어법의 주요 다른점.
1. 중국어의 단어는 어미의 변화가 없다, 주로 어순이 문장 안에서 단어의 관계에 기대어 단어가 문장 안에서 위치와 어법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어미의 변화에 근간을 둔다. 각 단어가 문장중의 위치와 어법기능을 한다. 예: 중국어“我去”,“人多”,이 문장에서 주어는 “我”,“人”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주어를 나타낼 때 꼭 주어의 뒤에 “가(이)”를 써야한다. 즉 “내가 간다”, “사람이 많다”이다. 마찬가지로 술어, 목적어, 한정어, 부사어를 쓸때도 어미의 변화가 있다. 이것은 중국어와 다른점이다.
2. 중국어는 때때로 개사로 각 단어 사이의 어법 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가사는 단어의 앞에 쓴다. 그러나 어미는 모두 단어의 뒤에 첨가한다. 중국어의 개사의 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3. 중국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목적어가 술어의 뒤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목적어가 앞에 오고 술어는 문장의 제일 뒤에 온다. 즉, 주어-목적어-술어 순이다. 예 :
4. 한국어는 회화에서 화자와 청자사이의 서열, 상하관계, 연령, 성별관계에따라 엄격한 예절관계가 나타난다. 계층관계를 파악하지 못하면 실례를 범할 수 있고,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우리는 꼭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예: 상대방에게 존중을 표현할 때 : “오늘 가십니까?” 상대방과 동등한 위치일 때 : “오늘가오?” 그리고 청자가 어린이 일 때 : “오늘 가니?”
5. 한국어의 어미변화의 표현은 화자가 청자에게 말하려는 의도와 방식을 표현한다. 예 : “읽다”(读)의 네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술형: 책을 읽습니다. 读书
의문형: 책을 읽습니까? 读书吗?
명령형: 책을 읽으십시오. 请读书吧
청유형: 책을 읽읍시다. 咱们一起读书吧
단어 끝에 모두 “형”을 붙인다. 이상 네가지 방식을 “서술형”,의문형’, “명령형”, “청유형”이라고 한다.
(1) 명사
중국어의 명사종류에 대한 연구는 이미 어법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하나의 통일된 분류기준이 부족하다. 각 학자간의 구분은 서로 상통하기엔 부족하다.
주덕희는 “단어종류의 구분의 본질은 단어의 어법기능에 의거 하는 것이지 단어의 의의 혹은 형태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각 단어와 양사의 선택관계에 근거하여 명사를 다섯 종류로 나누었다.
a. 셀 수 있는 명사: 자신이 사용하는 개체 양사
b. 셀 수 없는 명사: 자신이 사용할 수 없는 개체 양사, 도량사나 임시양사만 선택할 수 있음
c. 집합명사: 집합양사와 부정양사만 쓸 수 있음
d. 추상명사: 종류양사와 동량사만 쓸 수 있음
e. 전유양사: 일반적으로 수량사 수식을 받을 수 없음
또 명사와 아홉 종류의 양사와의 조합관계에 근거하여 우리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계층상에 존재 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많은 무양사 단어와 과정명사가 존재한다.

一、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
명사는 그 어법기능에 따라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로 나뉜다.
완전명사는 독립적이다.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이 되고, 일반적으로 명사는 모두 이런 종류이다. 예 :

그 중의 “선생님”, “학생”, “한국어”, “노동자”, “나라”, “주인”, 모두 완전명사이다.
불완전명사는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형성할 수 없다. 그것은 꼭 수식어를 붙여야 하고 그래야 문장 성분이 된다. 대부분의 불완전 명사의 의의는 매우 추상적이다. 그래서 꼭 어떤 규정된 어미결합이 있어야 하고 어떤 불완전 명사는 술어를 붙여야 의미를 가진다.

-
열심히 했습니다 ^^
回答者: didwjddus - 试用期 一级 3-18 15:07 分类上升达人排行榜
用户名 动态 上周上升
许凤鹤 2095
king9942 1380
sayonara404 1165
云峰63 1050
Hong_T
温馨提示:答案为网友推荐,仅供参考
第1个回答  2009-03-20
한국은 조선반도 남단의 국가이다. 서남쪽은 황해, 동남쪽은 조선해협 및 대마해협에 닿아 있고, 동쪽은 일본해와 가깝다. :
한국은 중국과 근접해 있고, 비록 단지 60년의 역사만 가지고 있지만 문자와 어법은 중국과 서로 차이가 많다.
한국어와 중국어 어법의 주요 다른점.
1. 중국어의 단어는 어미의 변화가 없다, 주로 어순이 문장 안에서 단어의 관계에 기대어 단어가 문장 안에서 위치와 어법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어미의 변화에 근간을 둔다. 각 단어가 문장중의 위치와 어법기능을 한다. 예: 중국어“我去”,“人多”,이 문장에서 주어는 “我”,“人”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주어를 나타낼 때 꼭 주어의 뒤에 “가(이)”를 써야한다. 즉 “내가 간다”, “사람이 많다”이다. 마찬가지로 술어, 목적어, 한정어, 부사어를 쓸때도 어미의 변화가 있다. 이것은 중국어와 다른점이다.
2. 중국어는 때때로 개사로 각 단어 사이의 어법 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가사는 단어의 앞에 쓴다. 그러나 어미는 모두 단어의 뒤에 첨가한다. 중국어의 개사의 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3. 중국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목적어가 술어의 뒤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목적어가 앞에 오고 술어는 문장의 제일 뒤에 온다. 즉, 주어-목적어-술어 순이다. 예 :
4. 한국어는 회화에서 화자와 청자사이의 서열, 상하관계, 연령, 성별관계에따라 엄격한 예절관계가 나타난다. 계층관계를 파악하지 못하면 실례를 범할 수 있고,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우리는 꼭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예: 상대방에게 존중을 표현할 때 : “오늘 가십니까?” 상대방과 동등한 위치일 때 : “오늘가오?” 그리고 청자가 어린이 일 때 : “오늘 가니?”
5. 한국어의 어미변화의 표현은 화자가 청자에게 말하려는 의도와 방식을 표현한다. 예 : “읽다”(读)의 네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술형: 책을 읽습니다. 读书
의문형: 책을 읽습니까? 读书吗?
명령형: 책을 읽으십시오. 请读书吧
청유형: 책을 읽읍시다. 咱们一起读书吧
단어 끝에 모두 “형”을 붙인다. 이상 네가지 방식을 “서술형”,의문형’, “명령형”, “청유형”이라고 한다.
(1) 명사
중국어의 명사종류에 대한 연구는 이미 어법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하나의 통일된 분류기준이 부족하다. 각 학자간의 구분은 서로 상통하기엔 부족하다.
주덕희는 “단어종류의 구분의 본질은 단어의 어법기능에 의거 하는 것이지 단어의 의의 혹은 형태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각 단어와 양사의 선택관계에 근거하여 명사를 다섯 종류로 나누었다.
a. 셀 수 있는 명사: 자신이 사용하는 개체 양사
b. 셀 수 없는 명사: 자신이 사용할 수 없는 개체 양사, 도량사나 임시양사만 선택할 수 있음
c. 집합명사: 집합양사와 부정양사만 쓸 수 있음
d. 추상명사: 종류양사와 동량사만 쓸 수 있음
e. 전유양사: 일반적으로 수량사 수식을 받을 수 없음
또 명사와 아홉 종류의 양사와의 조합관계에 근거하여 우리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계층상에 존재 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많은 무양사 단어와 과정명사가 존재한다.

一、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
명사는 그 어법기능에 따라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로 나뉜다.
완전명사는 독립적이다.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이 되고, 일반적으로 명사는 모두 이런 종류이다. 예 :

그 중의 “선생님”, “학생”, “한국어”, “노동자”, “나라”, “주인”, 모두 완전명사이다.
불완전명사는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형성할 수 없다. 그것은 꼭 수식어를 붙여야 하고 그래야 문장 성분이 된다. 대부분의 불완전 명사의 의의는 매우 추상적이다. 그래서 꼭 어떤 규정된 어미결합이 있어야 하고 어떤 불완전 명사는 술어를 붙여야 의미를 가진다.
예:

PS:好像LZ这个不是全文哦 最后例如的句子没有啊?
第2个回答  推荐于2016-06-02
한국은 조선반도 남단의 국가이다. 서남쪽은 황해, 동남쪽은 조선해협 및 대마해협에 닿아 있고, 동쪽은 일본해와 가깝다. :
한국은 중국과 근접해 있고, 비록 단지 60년의 역사만 가지고 있지만 문자와 어법은 중국과 서로 차이가 많다.
한국어와 중국어 어법의 주요 다른점.
1. 중국어의 단어는 어미의 변화가 없다, 주로 어순이 문장 안에서 단어의 관계에 기대어 단어가 문장 안에서 위치와 어법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어미의 변화에 근간을 둔다. 각 단어가 문장중의 위치와 어법기능을 한다. 예: 중국어“我去”,“人多”,이 문장에서 주어는 “我”,“人”이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주어를 나타낼 때 꼭 주어의 뒤에 “가(이)”를 써야한다. 즉 “내가 간다”, “사람이 많다”이다. 마찬가지로 술어, 목적어, 한정어, 부사어를 쓸때도 어미의 변화가 있다. 이것은 중국어와 다른점이다.
2. 중국어는 때때로 개사로 각 단어 사이의 어법 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가사는 단어의 앞에 쓴다. 그러나 어미는 모두 단어의 뒤에 첨가한다. 중국어의 개사의 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3. 중국어의 어순은 일반적으로 목적어가 술어의 뒤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국어는 목적어가 앞에 오고 술어는 문장의 제일 뒤에 온다. 즉, 주어-목적어-술어 순이다. 예 :
4. 한국어는 회화에서 화자와 청자사이의 서열, 상하관계, 연령, 성별관계에따라 엄격한 예절관계가 나타난다. 계층관계를 파악하지 못하면 실례를 범할 수 있고,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우리는 꼭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예: 상대방에게 존중을 표현할 때 : “오늘 가십니까?” 상대방과 동등한 위치일 때 : “오늘가오?” 그리고 청자가 어린이 일 때 : “오늘 가니?”
5. 한국어의 어미변화의 표현은 화자가 청자에게 말하려는 의도와 방식을 표현한다. 예 : “읽다”(读)의 네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술형: 책을 읽습니다. 读书
의문형: 책을 읽습니까? 读书吗?
명령형: 책을 읽으십시오. 请读书吧
청유형: 책을 읽읍시다. 咱们一起读书吧
단어 끝에 모두 “형”을 붙인다. 이상 네가지 방식을 “서술형”,의문형’, “명령형”, “청유형”이라고 한다.
(1) 명사
중국어의 명사종류에 대한 연구는 이미 어법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하나의 통일된 분류기준이 부족하다. 각 학자간의 구분은 서로 상통하기엔 부족하다.
주덕희는 “단어종류의 구분의 본질은 단어의 어법기능에 의거 하는 것이지 단어의 의의 혹은 형태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각 단어와 양사의 선택관계에 근거하여 명사를 다섯 종류로 나누었다.
a. 셀 수 있는 명사: 자신이 사용하는 개체 양사
b. 셀 수 없는 명사: 자신이 사용할 수 없는 개체 양사, 도량사나 임시양사만 선택할 수 있음
c. 집합명사: 집합양사와 부정양사만 쓸 수 있음
d. 추상명사: 종류양사와 동량사만 쓸 수 있음
e. 전유양사: 일반적으로 수량사 수식을 받을 수 없음
또 명사와 아홉 종류의 양사와의 조합관계에 근거하여 우리는 명사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계층상에 존재 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많은 무양사 단어와 과정명사가 존재한다.

一、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
명사는 그 어법기능에 따라 완전명사와 불완전명사로 나뉜다.
완전명사는 독립적이다.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이 되고, 일반적으로 명사는 모두 이런 종류이다. 예 :

그 중의 “선생님”, “학생”, “한국어”, “노동자”, “나라”, “주인”, 모두 완전명사이다.
불완전명사는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형성할 수 없다. 그것은 꼭 수식어를 붙여야 하고 그래야 문장 성분이 된다. 대부분의 불완전 명사의 의의는 매우 추상적이다. 그래서 꼭 어떤 규정된 어미결합이 있어야 하고 어떤 불완전 명사는 술어를 붙여야 의미를 가진다.

-
열심히 했습니다 ^^本回答被提问者采纳
第3个回答  2009-03-20
我没时间呀!
第4个回答  2009-03-28
楼上翻译的很认真.